본문 바로가기
건강

라임병 증상 기본정보 진드기 물린자국 퇴치제 예방법은?

2025. 4. 21.

 

진드기로부터 물려 감염되는 라임병 증상과 예방법 퇴치제 진드기 물린자국을 알아보겠습니다. 봄이오고 날이 따뜻해지며 야외활동이 많아지며 진드기에 물리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진드기 물린자국, 라임병의 증상 및 특징, 예방법 및 퇴치제에 대한 종합적인 내용을 자세히 알아보고, 야외활동 시 진드기로부터 건강을 보호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목차
 

 

라임병 기본정보

라임병이란 보렐리아속균(Borrelia burgdorferi, B. afzelii, B. garinii 등)에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는 감염병입니다.

 

1975년 미국 코네티컷주 라임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북미, 유럽, 아시아 등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대표적인 진드기매개 감염병입니다.

라임병 원인

라임병 원인균은 보렐리아속균으로, 주요 3가지 유전형이 있습니다.

  • Borrelia burgdorferi sensu stricto
  • Borrelia afzelii
  • Borrelia garinii

이 세균은 주로 참진드기(Ixodes속)에 의해 매개됩니다. 국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참진드기가 주요 매개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 산림참진드기(Ixodes persulcatus)
  • 일본참진드기(I. nipponensis)
  • 남방참진드기(I. granulatus)
  • 사슴참진드기(I. ovatus)

진드기 물렸을때 모든 경우에 라임병에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염된 진드기라 할지라도 36~48시간 이상 부착되어 흡혈해야 병원체가 인체에 전파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라임병 증상라임병 증상

 

유행지역에서도 참진드기에 물린 사람의 약 1%만이 라임병에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비오킬 빈대 퇴치법

→ 비오킬 빈대 퇴치법 및 비오킬 사용법 베드버그 퇴치제 효과 꼭 확인하세요

 

라임병 우리나라 현황

국외 현황

라임병은 남극과 남아메리카를 제외한 전 대륙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북반구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 미국: 가장 흔한 진드기매개질환으로 매년 3만 건 이상 발생
  • 캐나다, 유럽(영국, 독일, 슬로베니아 등), 중국 북부, 일본 북해도 등에서 보고 증가
  • 주로 여름철(6~7월)에 집중 발생

국내 현황

국내에서는 1990년대 초 진드기로부터 병원체가 분리되었으며, 2009년 12월 감염병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현재는 제3급 감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2015년부터 2024년까지의 발생 현황

  • 국내 감염: 183건
  • 국외 감염: 60건
  • 불명: 1건
  • 총계: 244건

2024년 역학적 특성

  • 주로 4~11월에 발생
  • 성별로는 남성(56.8%)이 여성(43.2%)보다 많음
  • 40세 이상 연령대(78.4%)에서 가장 많이 발생
  • 주요 감염 위험요인은 농림축산업 관련(29.7%)과 일회성 야외활동(29.7%)

 

라임병 증상과 임상 경과

라임병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열(51.4%)
  • 발진(37.8%)
  • 근육통(24.3%)
  • 오한(24.3%)
  • 관절통(21.6%)
  • 두통(18.9%)
  • 유주성 홍반(16.2%)
  • 이차성 유주성 홍반(2.7%)

임상 경과

라임병 증상은 크게 3단계로 진행됩니다.

 

1. 초기 국소성 감염

  • 잠복기: 3~30일
  • 진드기에 물린 1~3주 후 물린 부위를 중심으로 유주성 홍반 발생
  • 특징: 시간이 지나면서 중심 부위는 호전되고 주변부로 퍼져나가 과녁 모양을 형성
  • 크기: 5cm 이상, 한 개 이상 발생 가능
  • 발열, 오한, 피로감, 두통, 관절통 등 전신증상 동반 가능

2. 초기 파종성 감염

  • 노출 후 3~10주가 지나면 발생
  •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일부에서 신경학적 증상(15%), 심혈관계 증상(510%), 이차성 유주성 홍반(3050%) 발생
  • 이차성 유주성 홍반: 원발성보다 크기가 작은 여러 병변이 얼굴, 손, 발 등 다양한 부위에 다발성으로 발생

3. 만성 감염(지연/만성)

  • 수주~수년 후 발생
  • 치료받지 않은 환자의 약 60%에서 주로 무릎 부위에 만성 관절염 발생
  • 약 20%에서 만성 위축성 선단피부염 발생

진드기 물린자국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유주성 홍반으로, 라임병 환자의 70~80%에서 관찰됩니다.

 

진드기에 물린 부위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퍼져나가는 발진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중심부는 호전되고 주변부로 확장되어 마치 과녁 모양을 형성합니다.

 

라임병 치료 및 진단

진단 기준은 라임병 증상과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진단합니다.

 

라임병 원인라임병 치료

 

환자: 라임병에 부합되는 임상증상을 나타내면서 다음 검사 기준에 따라 감염이 확인된 사람

  • 검체(혈액, 뇌척수액, 피부생검조직)에서 보렐리아균 분리 동정
  • 검체(혈액, 뇌척수액)에서 간접면역형광항체법(또는 ELISA)과 웨스턴블럿법으로 특이 항체 검출

의사환자:

  • 의심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으로 라임병이 의심되나 진단검사 결과가 없는 사람
  • 추정환자: 임상증상 및 역학적 연관성으로 라임병이 의심되며, 간접면역형광항체법(또는 ELISA) 또는 웨스턴블럿법으로 특이 항체가 검출된 사람

라임병 치료 방법

라임병은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대부분 완치가 가능합니다.

  • 주로 사용하는 항생제: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 아목시실린(amoxicillin), 세퓨록심(cefuroxime) 등
  • 치료 기간: 14~21일간 사용 권장
  • 발생 초기에 적절한 항생제 투여가 중요

진드기 퇴치제를 사용하는 것보다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의심 증상이 있다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라임병 예방 및 관리 방법

개인 예방 수칙

진드기 예방을 위한 수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야외활동 시 보호 장비 착용
  2. 기피제 사용
  3. 야외활동 후 관리
  4. 진드기 물렸을 경우 대처법

효과적인 진드기 퇴치제

다양한 진드기 퇴치제가 시중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1. DEET 함유 제품
  2. 퍼메트린(Permethrin) 함유 제품
  3. 천연 성분 기피제
  4. IR3535 함유 제품

 

라임병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FAQ)

Q1: 라임병은 사람 간에 전파될 수 있나요?

A: 아니요. 라임병은 감염된 참진드기에 물려야만 감염되며, 사람 간 직접 전파는 되지 않습니다.

Q2: 라임병이 헌혈이나 수혈을 통해 전파될 수 있나요?

A: 라임병이 수혈을 통해 전파된 사례는 보고된 바 없으나, 원인균이 혈액에서 생존할 가능성이 있어 라임병으로 치료받고 있는 환자는 헌혈을 하지 않도록 권고합니다.

Q3: 임신 중 라임병에 걸리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임신 중 라임병에 걸리면 적절한 항생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치료받지 않을 경우 태반 감염 및 사산의 위험이 있으나,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태아에 심각한 영향 없이 회복 가능합니다. 독시사이클린은 임신부에게 사용이 금기되므로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Q4: 모유를 통해 라임병이 전염될 수 있나요?

A: 라임병이 모유를 통해 영아에게 전염된 사례는 없습니다. 라임병 치료 중 모유 수유를 할 경우, 수유에 안전한 항생제를 처방받을 수 있도록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Q5: 진드기에 물리면 모두 라임병에 걸리나요?

A: 아니요. 모든 진드기가 라임병 원인균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더라도 균이 전파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약 36~48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야외활동 후 24시간 이내에 진드기를 제거하면 감염 확률은 매우 낮아집니다.

진드기 라임병은 진드기에 의해 매개되는 심각한 감염병이지만, 적절한 예방 조치와 조기 발견, 치료를 통해 충분히 관리 가능합니다. 야외활동 시 긴 옷 착용, 기피제 사용, 귀가 후 즉시 옷 세탁 및 목욕, 체계적인 신체 점검 등의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드기 물린자국이 발견되거나 라임병의 특징적인 증상인 유주성 홍반이 나타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조기에 항생제 치료를 시작하면 완치 가능성이 높으니, 의심 증상이 있다면 지체하지 말고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무엇보다 진드기 예방이 가장 중요하므로, 야외활동이 많은 봄부터 가을까지는 예방 수칙을 철저히 지켜 건강한 야외활동을 즐기시기 바랍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글

빈대 퇴치제 비오킬 베드버그 증상 물린자국 물림증상 대처와 퇴치법 모두 정리

빈대 물렸을 때 빈대 물린자국 증상 약 치료 방법 확인하세요

러브버그 시기 익충인 이유 안전한 방역법 러브버그 물림 걱정 마세요!

 

라임병 기본정보